코로나로 인한 금융위기가 발생하고 실업률이 최대치를 갱신하며 각 국가들은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를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했습니다. 백신이 나오고 접종자 수가 늘자 미국 실업률은 다시 안정권으로 진입했으며 미국연방준비제도(fed)는 경제 상황을 지켜보는 시기에 있습니다. 오늘은 테이퍼링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IMF가 또 오지 말란 법은 없지..

 

테이퍼링이란

 

 

보통 금융위기,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각 국가들은 침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합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대출 이자의 감소, 이자의 감소로 대출을 받는 수요를 증가시키게 하며, 사람들은 단순히 은행에만 돈을 넣어 놓기보다는 주식, 부동산, 등 투자활동에 돈을 쓰게 됩니다. 덕분에 경기불황 속에서도 기업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금리인하에도 경제가 회복되기 힘들다고 판단하면 중앙은행이 직접 국채 등을 매입하여 시장에 돈을 풀어 유동성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양적완화라고 합니다. 양적완화로 실업률 감소, 시장 유동성 증가 등 경제가 다시 회복된다면 이때 중앙은행은 국채 등의 매입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게 되는데 이를 테이퍼링이라 합니다.

 

테이퍼링의 영향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로 계속 매입해오던 국채 등의 자산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한다면 시장에 풀리는 유동성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유동성 감소가 필요한 이유는 과다한 양적완화가 이어지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의 가격 상승으로 물가가 과다하게 상승하며, 주식, 부동산 시장의 엄청난 폭등 등으로 화폐가 화폐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이퍼링은 꼭 필요한 절차이며, 그 시기에 따라 주식이나 부동산,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금리 인상의 출발점?!

테이퍼링이 시작된다는 건 경기가 어느정도 회복됬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러다 경기가 더욱 활기를 띄게 된다면, 각 국의 중앙은행은 그동안 경제활성화를 위해 인하하였던 금리를 인상합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사람들은 위험성이 큰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에 투자하기보다 안전한 은행상품을 이용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며, 주식,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기업입장에서는 지출 해야하는 대출, 채권이자의 증가로 전보다 투자가 감소하며, 생산성이 위축됩니다.

각 국의 중앙은행들은 이렇게 금리를 인상시키고 인하시키며 통화량을 조절하고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